AI 모델의 진화와 한계: '더 좋은' 모델이 '더 좋은'가?
·
Media Trend & Insight
'더 좋은' AI 모델의 등장과 등장...매주 새로운 AI 모델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o1 Pro, Phi 4, Midjourney 6.1까지... 더 나은 답변을 제공하는 '더 좋은' AI 모델이라는 수식어와 함께 말이죠. 하지만 과연 '더 좋은' 모델이 정말 우리가 기대하는 '더 좋은' 결과를 가져다 주는 걸까요? 하지만 잠깐 멈춰서서 생각해봐야 할 질문이 있습니다. 정말 모든 질문에 '더 나은' 답이 존재할까요? 많은 질문에는 '더 나은' 답이 아닌, 단지 '맞는' 답만이 존재합니다.그렇다면 AI 발전의 맥락에서 '더 나은', '더 좋은'이란 무슨 의미일까요? 크게 세 가지 관점에서 이 질문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AI의 활용 영역에서의 '더 나음'과 한계첫째, AI의 활용 영역에 따른 '더 나음'..
트럼프 복귀와 워싱턴 포스트의 BHAG
·
Media Trend & Insight
최근 언론계에서 가장 뜨거운 주제 중 하나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복귀로 인한 뉴스 매체들의 변화입니다. 이를 통해 워싱턴포스트(The Washington Post)의 'BHAG(Big Hairy Audacious Goal)'이라는 흥미로운 방향성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BHAG’는 1994년 제임스 콜린스와 제리 포래스가 ≪성공하는 기업들의 8가지 습관 Built to Last ≫이란 책에서 처음 사용한 용어입니다. 크고 Big 위험하고 Hairy 대담한 Audacious 목표 Goal라는 뜻인데요. 무한 경쟁 시대에 인간의 상상을 넘어서는 야심에 찬 목표를 가진 기업이 글로벌 성장을 이끌어내는 기제가 바로  BHAG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트럼프 복귀, 언론의 양극화트럼프의 복귀는 언론사들 사이에서 ..
소셜과 검색 시대, 독자와 공감하는 뉴스 전략
·
Media Trend & Insight
요즘 뉴스 플랫폼의 환경은 쉽지만 않습니다. 소셜과 검색 모두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데요. 뉴스룸에서는 페이스북과 트위터 같은 소셜 플랫폼에서 뉴스 트래픽이 급격히 감소하고, 사용자들이 앱 내에서 머무르게 하려는 움직임이 강화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검색 트래픽은 "눈에 띄게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지만(디지털뉴스리포트 2024), 소셜 감소와 직접 트래픽 감소 속에서 챗GPT, 클로드, 퍼블릭시티 등 AI 기반 답변 도구의 성장으로 인해 뉴스 사이트 클릭이 줄어드는 상황도 관찰되고 있습니다. 특히 Google은 인터넷에서 가장 중요한 검색 결과 영역을 지속적으로 실험하며, 뉴스 웹사이트 클릭 없이도 정보를 제공하는 AI 기반 답변을 점점 더 많이 통합하고 있습니다. (이번 주 Google은..
워싱턴포스트의 새로운 미션: '모든 미국인을 위한 생동감 있는 스토리텔링'
·
Media Trend & Insight
2025년 1월 16일, 도널드 트럼프가 대통령직에 복귀할 준비를 하면서 워싱턴포스트는 보다 확장된 저널리즘 비전을 반영한 새로운 미션 선언, ‘모든 미국인을 위한 생동감 있는 스토리텔링(Riveting Storytelling for All of America)’을 공개했습니다.트럼프가 2017년 백악관에 입성했을 때, 워싱턴포스트는 정부 감시자로서의 역할을 강조하며 ‘민주주의는 어둠 속에서 죽는다(Democracy Dies in Darkness)’라는 슬로건을 내세운 바 있었죠.새로운 비전 제안 배경이 선언은 언론사의 내부 결속을 강화하고, 다양한 배경의 독자층을 포괄하려는 시도로 해석됩니다. 워싱턴포스트의 수지 왓퍼드(Suzi Watford) 전략 책임자는 이 선언을 사내 직원들에게 발표하며, 신문이..
Agents Are Not Enough : AI 에이전트의 현재와 미래
·
Media Trend & Insight
최근 AI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AI 에이전트에 대한 관심이 다시 한번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의 에이전트가 정말로 충분할까요?"Agents Are Not Enough"라는 논문에서 워싱턴 대학교의 Chirag Shah와 마이크로소프트 리서치의 Ryen W. White는 에이전트 기술의 과거 실패와 한계를 분석하며, 단순히 더 똑똑한 에이전트를 만드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고 주장합니다. 이들은 성공적인 AI 에이전트의 발전을 위해서는 새로운 생태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AI 에이전트, 어디에서 한계에 부딪혔는가?AI 에이전트는 사용자를 대신해 작업을 수행하는 자율적인 프로그램으로, 간단한 온도 조절 장치부터 스마트 스피커와 자율주행 자동차까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합니다. 이들은 사용자에게 편..
[신문] 광고 의존, 지역 편중, 성별 불균형 등 근본적 문제 개선 필요해
·
Media Archive
뉴스 회피 현상이 대두된 미디어 환경에서 실제 신문산업의 현황은 어떨까. 한국언론진흥재단이 펴낸 (2025년 1월 발간 예정)를 통해 종이신문과 인터넷신문의 흐름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향후 미래를 전망해 본다. 편집자 주​천현진 한국신문협회 연구원·건국대 언론홍보대학원 겸임교수​2023년 5월, 세계보건기구(WHO)는 사실상의 팬데믹 종식(엔데믹)을 발표했다. 2020년 1월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언한 지 3년 4개월 만이다. 신문산업은 오랜 불안과 위기 속에서 점진적인 회복세에 힘입어 2023년 한 해 총 매출 4조 7,885억 원(전년 대비 6.4% 성장)을 기록했다.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과 시장에 반응하며 커다란 진폭을 경험한 것이다. 독자들의 뉴스 소비 행태는 모바일과 소셜미디어 중심으로 재편됐..
기사를 재구성하다: 타임지의 AI 실험
·
Media Trend & Insight
타임(Time)지가 '올해의 인물(Person of the Year)' 발표와 함께 선보인 AI 실험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기존의 정적인 웹 기사 형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혁신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실제 '올해의 인물' 선정보다 더 큰 의미를 가집니다.타임지가 도입한 AI 기능들:독자들이 기사 내용에 대해 질문할 수 있는 기능 다양한 길이로 요약된 내용 제공 여러 언어로 번역 가능 오디오 버전으로 청취 가능  이러한 기능들은 Scale AI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구현되었으며, OpenAI가 채팅과 번역 기능을, ElevenLabs가 음성 변환 기능을 제공했습니다. 타임지는 이것이 "시작에 불과하다"며 추가적인 발전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주목할 만한 점들:물론 독자가 기사와 대화하는 기능이 얼마나 ..
[서울신문 직접 인쇄 중단] 윤전기는 멈춰도 뉴스는 쉬지 않는다
·
Media Archive
종이신문 구독률이 낮아지면서 신문사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종이신문 발행을 중단하고 전면 디지털 전환을 시도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언론사의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한 지혜로운 해법은 무엇인지, 국내외 사례를 통해 확인해 본다. 편집자 주천현진 한국신문협회 연구원 ​서울신문이 창간 120주년을 맞는 오는 7월 자체 신문 인쇄를 중단하고 대쇄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1) 이로써 광화문 사옥(프레스센터) 지하에서 25년간 가동된 윤전기 4대가 멈추고 제작국(윤전·발송) 인력도 축소될 전망이다.  서울신문은 이를 두고 ‘위기감’을 언급했다. 그만큼 절박한 심정이 묻어난다. 실제 종이신문 발행 부수는 매년 급격히 감소하고 있으며, 광고 수익도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요즘 ..